"http://cums.tistory.com/175"에 대한 답변
롤즈는 공리주의 비판과 "무지의 베일"이라는 사유 실험을 통하여 형식적 정의를 배격하고, "순수 절차적 정의"를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그는 모든 사람들이 "평등한 조건 안에서" 자신들의 이익을 향해 출발할 수 있음을 논증했다. 즉, 이는 정의의 제1원칙에서 "출발점이 같다면"이라는 전제를 이미 함축하고 있는 것이다. 정의의 제1원칙에 자구적으로 그렇게 명시되었다 해서, 이를 속단하는 것은 금물이다. 특히 현대사회에서, 우리가 어떠한 이론은 받아들임에 필요한 것은 "진정성" 있는 이해이지, 교조적 도그마는 결코 아니다. 롤즈의 정의론 제3장~제4장의 내용에 대한 더 깊이 있는 이해가 요구되는 바이다.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진보비판] 한국의 '진보주의자'는 결코 약자를 대표할 수 없다! (0) | 2022.04.05 |
---|---|
"경제"에 대해 논의하기에 앞서 (0) | 2011.05.15 |
石橋湛山, 제국주의 일본에서 "小일본주의"를 외치다. (0) | 2010.10.26 |
한국의 "사이비" 보수주의 (0) | 2010.10.26 |